여성 난임은 자궁이 냉한 경우, 난관이 막혀서 배란이 안되는 경우, 자궁내막에 염증, 근종, 선종 등 어혈이 뭉쳐있어 착상이 되지 않는 경우, 만성피로, 과로로 자궁기능이 약해진 경우로 나뉠 수 있으며 그 원인을 해소시켜주는 치료를 해야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당귀는 보혈, 천궁은 행혈, 익모초는 조경하는 약효가 있어 부인과질환에 많이 쓰이며, 함께 복용하면 출산 전후 해산을 도와주고, 나쁜 피가 잘 배출되게 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자궁근종이란 자궁에 혹이 생기는 것입니다.
자궁근종은 상당한 크기로 발달을 할 때까지는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수시로 진단을 받지 않으면 찾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개인차에 따라 하나의 양성종양이 아닌 여러 개의 종양이 동반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숙한 여성 누구나 생길 수 있으나 그대로 방치할 때는 자궁적출이라는 최악의 상황으로 진행되며 자궁적출후유증을 앓을 수 있으므로 조기에 예방, 치료를 해야 합니다.
동의보감에 '석가라는 것은 포(胞)가운데가 접촉된 후 피가 뭉친 소치이다.'라 하였고 '장가가 부인의 자궁에 생기면 유산을 하고 포락에 생기면 경폐(經閉)가 된다.'라 하였습니다.
자궁이 차가운 기운에 상하여 기와 혈이 상하면 자궁의 혈과 기가 통하지 않아서 뭉치게 되고, 이것이 덩러리져서 혹처럼 형성이 되는 것이 자궁근종입니다.
자궁근종은 먼저 자궁 속에 쌓인 습답과 노폐물을 없애고 울체된 기와 혈을 푸는 것으로부터 시작을 합니다.
자궁이 허하여 기혈이 울체된 경우, 간장과 비장이 손상된 경우, 기와 혈이 허한 경우, 몸이 지나치게 찬 경우, 어혈과 담음 등이 생긴 경우 등이 생리통을 유발합니다.
생리가 늦춰지는 것은 기혈이 허하고 몸이 차가워지거나 스트레스 및 과로 때문이며, 열이 많아지면 생리일이 앞당겨지거나 생리양이 많아집니다.
비만으로 인해 습담이 많을 때도 생리주기와 양이 바뀔 수 있습니다.
나이가 지났는데도 생리가 없는 경우나 6개월 이상 생리가 없는 경우는 치료를 해야합니다.
원인은 다양하므로 세밀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한방에서는 신의 기운이 허하거나 기혈이 허한 허증과 간기울혈, 어혈, 담습, 산후조리의 잘못으로 차가운 기운 침범등에 듸한 실증으로 나누어 치료합니다.
한방에서는 냉대하를 단순한 세균감염보다는 월경후나 산후에 자궁이 허해지거나 습답이 생겨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스트레스, 과로, 다산등의 이유로 대하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산후에는 모든 뼈마디가 느슨해지고 기혈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어혈이나 차가운 기운이 머무르기 쉽습니다. 이것이 뼈와 관절에 통증을 일으키고 근육을 당기는 통증을 유발합니다.
산후풍은 방치할 경우 평생을 따라다니는 무서운 질병이므로 사전예방과 조기치료가 중요합니다. 산후에는 기혈이 약해져있으므로 기혈을 보충해 주고 어혈이 있다면 어혈을 풀어주고 그 이후에 기혈을 보충해 주어야 합니다.
출산 후 성급한 일상복귀는 여성의 기혈과 관절에 좋지 않으며, 산후에 잉어, 호박 등을 달여 먹고 강제로 땀을 빼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산모 개인 상태에 따라 한의학적 진단과 처방을 구분해야 합니다.
팔강진단(스트레스검사)으로 자율신경계의 교감 부교감 신경계의 불균형을 측정하여, 정서적인 문제나 스트레스가 여성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고, 장부신경계의 과불급으로 인한 여성질환을 감별합니다.
혈맥어혈검사를 통해 여성질환과 심기능 및 혈액순환계의 연관성을 규명합니다.
적외선 체열진단으로 병증의 급만성여부와 염증반응정도를 판별하고, 자궁주위의 냉증여부를 감별하여 자궁기능저하의 정도를 감별합니다.